레이블이 NC다이노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NC다이노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5월 31일 토요일

NC 다이노스, 연고지 이전 가능성 공식화…창원시에 최후통첩

비극의 사고, 갈등의 시작

지난 3월 29일, 창원NC파크에서 벌어진 루버(외장 마감재) 낙하 사고는 단순한 안전사고를 넘어 NC 다이노스와 창원시 간의 관계를 흔드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 사고로 관중 3명이 부상을 입었고, 그 중 한 명은 안타깝게도 사망에 이르렀다.

그러나 사고 직후 창원시와 창원시설관리공단은 침묵으로 일관했고, 책임 소재에 대한 논의는 NC 구단에만 집중되었다. 이에 대해 구단 측은 깊은 유감을 표하며 '구단 생존 자체가 위협받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진만 대표 “연고지 재검토, 더 이상 피할 수 없다”

NC 다이노스의 이진만 대표는 지난 5월 23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연고지 이전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했다. 단순한 감정적인 반응이 아닌, 구체적인 조건 제시와 함께 창원시에 실질적인 변화와 협조를 요구한 것이다.

이 대표는 “단순히 구장을 옮기자는 것이 아니다. 현재 환경에서 구단의 존속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창원시의 실질적인 지원 여부에 따라 구단의 미래를 판단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KBO도 등판…다양한 지자체와 연계 가능성 열어둬

한국야구위원회(KBO) 역시 NC의 문제제기에 공감하며 전폭적인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 KBO는 “현실적인 대안들이 있으며, NC 다이노스가 새로운 연고지를 모색할 경우 적극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KBO는 성남시와 야구전용구장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으며, 울산시와는 교육리그 협업을 통해 야구 기반 확대를 모색 중이다. 특히 울산은 문수야구장의 관람석 증설과 유스호스텔 건립 등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이다.


NC, 창원시에 ‘구체적 실행 요구서’ 전달

NC 구단은 창원시에 세부 항목이 포함된 협조 요청서를 전달했다. 여기에는 ▲구장 안전 및 시설 보완 계획, ▲관중 접근성 개선 방안, ▲과거 행정 약속 이행 여부 등이 포함되며, 각각의 항목에는 착공 시기, 완료 목표 시점, 예산 확보 계획 등이 명시되어 있다.

이 대표는 “지금 요청한 사안들은 무리한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생존 기반”이라며 “창원시의 성의 있는 대응만 있다면 연고지 관계를 계속 이어갈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후통첩…창원시의 선택이 남았다

현재 공은 창원시에 넘어간 상태다. NC 다이노스와 KBO는 실행 가능하고 명확한 조건을 제시하며 공동 대응 입장을 밝혔다. 이는 단순한 으름장이 아닌, 실질적인 실행계획을 수반한 최후 통첩이라는 점에서 무게가 남다르다.

창원시가 어떻게 응답하느냐에 따라 KBO리그 연고지의 역사가 다시 쓰일 수 있는 중요한 분기점이 도래했다.

NC 다이노스, 연고지 이전 가능성 공식화…창원시에 최후통첩

비극의 사고, 갈등의 시작 지난 3월 29일, 창원NC파크에서 벌어진 루버(외장 마감재) 낙하 사고는 단순한 안전사고를 넘어 NC 다이노스와 창원시 간의 관계를 흔드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 사고로 ...